강릉 시민들 불안 확산, 안전은 뒷전?

북한 미사일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4일 저녁 우리 군이 발사한 ‘현무-2’ 탄도미사일이 비정상 비행 후 강릉 공군기지 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불길이 일고 큰 폭발음이 들렸지만 재난 문자 하나 없어 강릉 주민들은 마치 전쟁이라도 난 것처럼 밤새 불안에 떨어야 했다.

군 당국은 사전에 훈련 사실을 일부 공지했다고 밝혔지만 낙탄 사고 이후 무작정 엠바고(보도 유예)를 취한 것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강륵 지역 주민들과 정치권은 군 당국이 보안을 이유로 사고를 숨기기에 급급했다며 여전히 사고에 대한 공식 보도자료조차 없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4일 밤 11시경 119에는 강릉 지역 주민들의 “전쟁 났냐”, “폭발음이 들렸다”, “불이 난 것 같다”, 하늘에서 뭐가 떨어졌다” 등 신고 접수가 빗발쳤다.
소방당국은 소방차 8대를 사고 지역으로 추정되는 군부대 인근으로 출동시켰다. 하지만 군부대 측은 훈련 중이고 보안 사항이라 확인해줄 수 없다며 돌려보냈다.

사고 원인은 5일 오전 7시가 돼서야 파악할 수 있었다. 북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 도발에 대응해 발사한 ‘현무-2’ 탄도미사일 낙탄 사고가 있었다는 것이다.
재난문자도 없이 원인도 모른 채 공포와 불안에 밤새 떨어야 했던 강릉 주민들이 군 당국에 불만을 터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게다가 사고 직후 군 당국이 언론에 엠바고(보도유예)를 요청한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강릉 주민들의 분노가 극에 달했다.
정치권도 비판에 가세했다. 5일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의 혈세로 운용되는 병기가 오히려 국민을 위협할 뻔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낙탄 경위에 대한 철저한 조사부터 해야 한다. 기계적 결함인지, 운용의 문제인지 검증에 검증을 더해달라”라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군의 대응 태도 역시 바뀌어야 한다. 재난 문자 하나 없이 무작정 엠바고를 취한 것은 무책임한 처사다”라고 꼬집었다.
강릉은 군과 시민이 함께 지켜온 대한민국 군사 요충지다. 1996년 무장공비 침투사건 당시 40여 명의 사상자 가운데에는 민간인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국방부와 공군은 군사요충지 강릉에 대해 더욱 각별하게 신경써야 할 필요가 있다.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