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심한 사과 뜻, 한자 문해력 갈등 원인은?

최근 한 업체가 ‘심심한 사과’라는 사과 글을 올린 뒤 일부 젊은 층들 사이에서 단어의 해석을 두고 갑론을박이 있었습니다.
지난 20일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콘텐츠 전문 카페는 웹툰 작가 사인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자 “예약 과정 중 불편을 끼쳐 드린 점 다시 한번 심심한 사과 말씀드립니다”라는 공지를 트위터에 올린 것이 사건의 발단이었습니다.
심심한 사과 뜻

해당 공지글을 읽은 일부 누리꾼들은 “심심한 사과?”, “난 하나도 안 심심해”, “꼭 ‘심심한’이라고 적어야 했나” 등 비난의 댓글이 이어졌습니다.
이날 카페 측이 올린 ‘심심한 사과’에서 ‘심심한’이라는 뜻은 “마음의 표현 정도가 매우 깊고 간절하다”라는 뜻의 ‘심심(甚深) 하다’였습니다.
하지만 일부 누리꾼들이 “하는 일 없이 지루하고 재미없다”, “심심하다” 등으로 이해해서 벌어진 일종의 해프닝이었습니다.
덕분에 글을 이해하는 능력인 ‘문해력’이 새삼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OECD에 따면 현재 대한민국에서 읽은 문장의 뜻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실질 문맹률’이 75%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신문맹의 가장 큰 원인으로 디지털 접속을 꼽습니다.
디지털 매체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겉핥기 식 읽기에 익숙해지다 보니 문해 능력이 갈수록 퇴보한다는 이유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세대 간 언어 단절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심심한 사과 문해력 갈등 원인

요즘은 예능도 짤로 보고 드라마도 배속을 높여 보는 시대입니다. 또한 시대상을 반영하는 말이나 인터넷 1인 미디어와 함께 사용되는 용어도 상당히 많습니다.
하지만 이번 ‘심심한 사과’ 논란은 특정 집단끼리 은어도 쓸 수 있고 어려운 전문용어도 쓸 수 있지만 모두가 소통하는 공간에서는 쉽고 순환된 말을 써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신조어 뿐만 아니라 젊은 층들이 어려워하는 한자어도 시간이 지날수록 사람들이 점차 사용하지 않는다면 공공 영역에서는 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입니다.
공공언어는 투명하고 모든 사람들이 오해의 여지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그런 언어가 좋다는 것입니다.

물론 내가 잘 모르거나 이해하기 힘든 단어를 접했을 때 받아들이는 자세도 중요합니다.
‘심심한’이라는 단어가 거슬렸다면 맥락을 생각해보고 한 번쯤 뜻을 생각해봤다면 지금과 같은 논란은 생기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이번 논란은 소통하는 상대방에 대한 신뢰가 부족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떤 단어를 모른다고 일방적으로 조롱이나 비난하기보다는 한번 더 설명하거나 이해를 구하는 배려가 필요한 현실입니다.
누구나 말실수 한 번쯤은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말 하나에 꼬투리를 잡아서 무조건 비난하려는 이런 문화에 대해서는 이번 사건이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