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발사, 누리호 2차 발사시간 발사일 무료 중계 일정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됩니다. 누리호 발사가 성공한다면 한국은 독자적 우주 수송이 가능한 7대 우주 강국에 다가서게 됩니다.

지난해 10월 누리호 1차 발사에서는 3단 로켓이 46초 일찍 꺼지는 바람에 최종 성공을 거두지 못했습니다. 이번 발사에서는 실제 성능 검증 위성을 실어 준비를 더 단단히 했습니다.

 

 

누리호 2차 발사 특징

사진=누리호 발사

누리호는 아파트 15층 높이의 길이 47.2m 무게 200톤에 달하는 3단 발사체입니다. 9년 전 발사했던 2단 로켓 누리호와 비교해 단이 하나 더 있습니다.

지난 발사 때는 모형 위성을 실었지만 이번에는 162.5kg에 달하는 성능 검증위성을 실었습니다. 1차 발사 실패 원인이었던 3단 로켓도 대대적인 조사 끝에 성공적으로 보완했습니다.

당시 헬륨 탱크가 뜯겨져 나가면서 액체 산소통이 금이 간 게 원인이었습니다. 이번에는 아예 3단 내부 설계까지 바꿔 헬륨 탱크를 고정시켰습니다.

누리호 가장 핵심인 1단 로켓에는 연료인 케로신과 산소가 희박한 곳에서 연소를 도와줄 액체 산소가 가득 차 있습니다. 연료 무게만 180톤으로 로켓 무게의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단에는 중형차 50대를 들어 올릴 수 있는 75톤 급 엔진이 4개 부착되어 있고 한 몸처럼 정교하게 움직여 300톤 급 힘을 내게 됩니다. 

누리호 발사 과정

사진=누리호 2차 발사
사진=누리호 2차 특징

누리호는 이 힘을 이용해 공기저항과 중력을 뚫고 지상 59km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목표 상공에 다다르면 동체 무게의 60%에 달하는 1단 로켓을 버리고 2단 로켓이 가동됩니다.

다음에는 로켓 꼭대기에 있는 페어링 장치가 분리됩니다. 페어링은 볼펜 끝처럼 뾰족하게 생겼는데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마찰열로부터 위성과 같은 탑재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2단 엔진이 분리되면 마지막으로 3단 엔진이 점화됩니다. 7톤 급 엔진을 장착한 3단 로켓이 목표 고도인 700k에 도달하면 누리호 임무는 완수됩니다.

누리호 2차 발사 시간

사진=누리호 2차 발사 시간

누리호 발사 시간은 21일 오후 4시입니다. 누리호는 전날 오전 7시 20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체 종합 조립동에서 출발해 오전 8시 40분 발사대에 도착했습니다.

누리호는 오전 9시 56분부터 기립 작업이 시작돼 오전 11시 10분 발사대에 완전히 고정됐고 21일 오전 10시부터는 이미 연결된 엄빌리칼 설비를 재점검하는 과정이 이어집니다. 현재로서는 큰 변수가 없는 한 성공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누리호 2차 발사 중계

발사 당일 변수가 될 것으로 우려됐던 날씨는 다행히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누리호 2차 발사 중계는 국립과천과학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