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진스 ‘쿠키’ 가사 선정성 논란 공식입장

방탄소년단(BTS) 소속사 하이브 산하 음반 기획사 ‘어도어’에서 야심 차게 선보인 걸그룹 뉴진스 타이틀곡 ‘쿠키’ 가사가 선정성과 성 상품화 논란에 휩싸였다.
멤버 5명 모두가 10대 미성년자로 꾸려진 뉴진스가 성적 암시가 들어간 가사를 부르게 했다는 것이다. 이에 뉴진스 소속사 어도어 측은 27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역대급 해명글을 올려 주목받고 있다.
뉴진스 쿠키 가사 논란

최근 유튜브 채널 ‘Bridge TV’에서는 ‘뉴진스 쿠키(Cookie)가사 선정성 논란, 빼박인 결정적 증거(ft. 동시통역사)’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하면서 “노래를 듣고 좋다고 생각했지만 들을수록 아니었다. 이 영상을 만들기 전에 고민이 됐다”라고 말했다.
이어 “멤버 전원이 미성년자였고 이 친구들이 엄청 노력하고 고생해서 데뷔했을 텐데 이런 식의 논란이 생기는 것도 불미스럽고 안타깝지 않냐. 이 영상을 통해 최소 미성년 가수에게 가사를 줄 때 신중했으면 하는 바람에 제작을 하게 됐다”라며 이유를 설명했다.

번역사는 뉴진스 쿠키 가사에 대해 “여기서 ‘쿠키’는 여성 생식기를 의미하는 게 맞다. 이걸 보고 아니라고 하는 건 너무 눈 가리고 아웅 식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영어를 쓸 줄 알고 편하게 구사하는 사람들에게 이 노래 가사를 들려주고 선정적이게 들리냐고 물어본다면 다 그렇다고 생각한다. 굉장히 섹슈얼한 가사”라고 덧붙였다.

통번역사는 “소속사 측은 쿠키를 굽는 마음으로 열심히 앨범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말도 안 되는 해명이라고 생각한다”라며 일갈했다.
그는 “쿠키를 ‘cookies’가 아닌 ‘cookie’ 단수로 썼다. 우리가 먹는 쿠키는 ‘cookies’라고 쓴다. 이건 대놓고 성적인 가사일 수밖에 없다. 여기 들어간 가사는 모두 성적인 비유다”라고 풀이했다.
끝으로 통역사는 “세계적인 기업에서 이런 걸 필터링하지 못했다면 회사 내부적인 문제이지 않을까 싶다. 다음 앨범을 만들 때는 이러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뉴진스가 성인이 되기 전까지 적어도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를 하는 건 안 했으면 좋겠다”라고 당부했다.
뉴진스 소속사 공식 입장

27일 뉴진스 소속사 어도어(ADOR)는 “트리플 타이틀곡 중 ‘Cookie’의 가사 논란이 발생한 점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라고 전했다.
이어 “예기치 못하게 의도가 곡해되는 상황으로 불편함을 느끼시거나 걱정해 주신 모든 분들께 우선 사과 말씀드립니다”라며 사과했다.

뉴진스 소속사 측은 “‘New Jeans’라는 음반의 Attention-Hype Boy-Cookie-Hurt로 이어지는 음반의 구성에는 기획 서사가 존재합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쿠키는 CD를 굽다=키쿠를 굽다 아이디어에서 착안해 흔히 시도되지 않았던 비트를 기반으로 앞으로 우리가 시도하려는 새로운 도전 자체를 상징한다”라고 해명했다.

어도어는 “쿠키는 곡 자체를 주식이 아닌 디저트로 표현하는 겸손함을 보여주지만 주식을 능가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표현한 곡이다. 이 곡은 뉴진스 음악적 가치와 새로움을 향한 도전을 함축한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어도어는 제작 기간 내내 쿠키 가사에 대한 어떤 의구심도 없었습니다. 건강함, 새로움이라는 우리의 기획의도가 너무나 선명했기 때문입니다. 가늠할 수 없는 전 세계의 슬랭은 모두가 알고 익혀야 하는 표준어가 아닙니다”라고 주장했다.
뉴진스 쿠키 가사 선정성 논란을 제기한 유튜버에 대해서는 “주장의 내용에 대해 다수의 영문학 박사, 통/번역 전문가, 네이티브 스피커 및 일반 외국인들에게 확인했습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통상 쓰이는 개념이 아니다’는 의견이 다수였으며, ‘그런 의미가 있는지 몰라 찾아보았다’는 의견들도 있었습니다. 이들의 공통된 의견은 번역을 해석함에 있어 100% 단정 지어 확신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일이다,라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어도어 측은 “특히 우리 음반에서 표현된 Cookie는 앞선 설명대로 ‘관성을 깬 개념’=’음악’=’음반’=’it’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번역 가사에서 Cookies로 혼용되는 것은 훨씬 부적절한 경우가 됩니다”라고 전했다.
이어 “본 사안을 계기로 각종 슬랭에 대한 사례 조사를 진행했고, Cake, Biscuit, Rice, Strawberry, Melon 등 일상의 평범한 단어들이 전혀 다른 뜻의 은어로 사용되는 케이스가 다양하다는 점을 파악했습니다”라고 알렸다.

즉, 이는 어떤 단어도 시비를 걸어 문제를 삼는다면 피해 가기 어려운 문제라는 점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어도어 측은 “진심으로 미성년자에 대한 보호를 외치고, 좋은 의견들을 내어주시는 분들의 의견을 감사히 생각하고 있으며, 또 존중합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어도어 측은 “아이러니한 것은 억지 주장을 하는 이들의 대부분이 공교롭게도 미성년자에 대한 보호를 방패로 자신들의 목적을 포장하고 있다는 점입니다”라고 질책했다.
이어 “정황에 대한 이해나 파악도 없이 의도를 추측하고 단정하는 것을 넘어 보호하자는 미성년자의 초상에 허위 문구를 기재한 자극적 섬네일로 홍보하는 것이 ‘보호’로 보이진 않습니다”라고 비판했다.
끝으로 “쿠키’Cookie’ 작사가 2명은 한국 국적/스웨덴 국적으로 영어가 모국어인 30대 여성들입니다. 번역가는 한국 국적으로 영어와 한국어가 모국어인 바이링구얼 여성입니다.”라고 밝혔다.
뉴진스 소속사 측은 “제작 의도가 선명했고, 여타 불순한 여지를 의심하지 못했던 탓에 모두 해당 논란에 대해 아연실색했습니다”라고 전했다.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