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으로 갈라진 윤석열 촛불집회

국가 애도기간 마지막 날인 5일 서울 도심 곳곳에서 대규모 윤석열 촛불집회가 열렸다.
이번 촛불집회는 대체로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지만 각 단체가 외치는 구호는 명확히 갈렸다.
윤석열 대통령 퇴진

진보 성향 단체 ‘촛불승리전환행동(이하 촛불행동)’은 5일 오후 5시부터 서울 숭례문 교차로부터 태평로 교차로까지 이어지는 차로에서 집회를 열었다.
이날 촛불집회는‘근조(謹弔)’가 적힌 검은색 리본을 가슴에 달고 희생자를 추모하는 묵념으로 시작됐고 일부 집회 참가자들은 플래카드를 손에 들었다.

주최 측 추산 2만 명이 모였지만 시끄러운 소리를 지르거나 확성기로 구호를 외치는 모습 없이 비교적 조용한 분위기 속에서 집회가 이어졌다.
하지만 이들이 전하는 메시지는 분명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국민이 죽어간다’, ‘이게 나라냐’, ‘퇴진이 추모다’ 등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며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 책임론을 부각시켰다.
문재인 정부 책임론

같은 시각 보수 성향 신자유연대는 삼각지역 인근에서 윤석열 정부 퇴진 반대 집회를 열었다.
이날 무대에는 “세월호 사고로 집권한 문재인 정권이 시스템과 제도 정비를 하지 않고 뭐 했냐”라며 “이번 참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말자”라는 현수막을 걸었다.
이들은 희생자 대신 사망자라는 표현을 사용했고 한 참가자는 “대통령에게 사고 책임을 지라는데 이건 아니라고 생각해 참석했다”라고 전했다.
결국 보수단체는 이번 참사를 정쟁 수단으로 삼지 말라며 문재인 정부 책임론을 꺼내들었고 진보단체는 이번 참사 원인이 윤석열 정부에 있다며 퇴진을 외쳤다.
엇갈린 시민들의 시선

촛불집회 참가자들은 “이번 집회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는 집단이 하나의 목소리를 내면 정부 대응도 그만큼 빨라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즉,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결국 많은 사람들의 목소리가 모여야 가능하고 사람들이 함께 목소리를 내고 공론화해야 이런 일이 재발하는 걸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는 시민들도 적지 않았다. 희생자 명복을 비는 추모 집회는 좋지만 얘기를 들어보면 결국 정치적 메시지로 들려 진정한 추모가 목적인지 의문이 든다는 것이다.
또한 이번 사고로 많은 집회가 취소되고 월드컵 거리응원까지 취소됐다는데 굳이 추모제를 열 필요가 있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