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다문화 출생아 수는 1만 4천여 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출생아는 1만 4천322명으로 전년(1만 6천421명)보다 1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 폭은 다문화 출생아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8년 이후 가장 컸으며, 연간 다문화 출생아 수가 1만 5천 명 아래로 줄어든 것은 2008년(1만 3천443명) 이후 최초다.
전체 출생아 대비 다문화 출생아 비중은 5.5%로 전년(6.0%)보다 0.5% 포인트 하락했으며, 지난 2015년 이후 6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다문화 출생 감소 이유 중 하나는 코로나 확산으로 지난 2020년과 작년 입국 제한 조치 등이 이뤄지면서 다문화 혼인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결혼 후 첫아이가 태어나기까지 결혼 생활이 2년 미만인 다문화 부모 비중은 49.3%로 전년 60.8% 대비 11.5% 감소했다.

이는 최근 결혼해 아이를 갖는 다문화 가정이 그만큼 줄어든 것을 의미하며, 실제로 지난해 기준 다문화 결혼은 1만 3천926건으로 전년 대비 13.9% 감소했다.
다문화 결혼 감소는 코로나가 발생한 2020년(-34.6%)에 이어 2년째 이어졌으며,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도(7.2%) 전년보다 0.3% 포인트 하락했다.
한국 남성과 다문화 결혼을 한 외국인·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은 3위 태국(11.4%), 2위 베트남(13.5%), 1위 중국(23.9%) 순이었다.
반대로 한국 여성과 결혼한 외국인·귀화자 남편 출신 국적은 미국이(9.4%)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다문화 결혼을 한 남편 나이는 45세 이상(27.7%)이 가장 많았으며, 다문화 결혼을 한 아내는 20대 후반(26.0%)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경우 45세 이상(27.7%)이 가장 많았고, 다문화 혼인을 한 아내는 20대 후반(26.0%)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역별 다문화 결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서울(8.2%), 인천·충남(8.0%) 순으로 높았으며, 세종(4.2%), 대전(5.1%) 순으로 다문화 이혼은 전년보다 3.0% 감소한 8천424건이었다.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